연구/통계 자료
해외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연구
- 저자
- 강진숙, 조재희, 정수영, 박성우
- 작성일
- 2020-03-27 17:18:54
- 조회수
- 966
본문 목차
요약문
Ⅰ. 서론 1
1. 문제제기 및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2
3. 연구방법과 연구체계 4
II. 각국의 법체계 및 정책기구 7
1. 미국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7
1) 개관 7
2) 법체계 10
3) 정책기구 및 실행사례 18
4) 시사점 22
2. 캐나다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23
1) 개관 23
2) 법체계 25
3) 정책기구 및 실행사례 28
4) 시사점 33
3. 독일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34
1) 개관 34
2) 법체계 36
3) 정책기구 및 실행사례 46
4) 시사점 56
4. 영국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58
1) 개관 58
2) 법체계 60
3) 정책기구 및 실행사례 67
4) 시사점 77
5. 프랑스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78
1) 개관 78
2) 법체계 80
3) 정책기구 및 활동사례 90
4) 시사점 99
6. 핀란드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100
1) 개관 100
2) 법체계 102
3) 정책기구 및 활동사례 104
4) 시사점 109
7. 호주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110
1) 개관 110
2) 법체계 111
3) 정책기구 및 활동사례 116
4) 시사점 125
8. 일본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125
1) 개관 125
2) 법체계 127
3) 정책기구 및 활동사례 144
4) 시사점 162
9. 싱가포르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163
1) 개관 163
2) 정책기구 및 활동사례 164
3) 시사점 168
III. 해외 미디어교육 전문가 인터뷰 분석결과 169
1. 연구문제 169
2. 연구방법 170
3. 분석결과 173
1) 해외 미디어교육의 법체계 및 정책기구의 활동사례 인식: 성과와 한계점 173
2) 해외 미디어교육 기관의 정책 사례와 미디어교육 활동 사례 평가 178
3) 한국 미디어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한 제언 186
4. 소결 191
1) 각국의 성과와 한계점 191
2) 정책 및 활동 사례와 평가 193
3) 한국 미디어교육을 위한 제언 194
IV. 한국 미디어교육 기관 및 프로그램 현황 197
V. 국내 미디어교육 전문가 포커스그룹인터뷰(FGI) 분석결과 206
1. 연구문제 206
2. 연구방법 207
3. 분석결과 209
1) 해외 미디어교육의 법체계 및 정책기구의 활동사례 인식: 시사점과 한계점 209
2) 국내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활동의 문제점과 그 원인 218
3) 국내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의 정립과 활성화 방안 226
4. 소결 235
1) 해외 사례의 시사점과 한계점 235
2) 국내 미디어교육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236
3) 국내 법체계 및 정책기구 정립과 활성화 방안 238
VI. 연구결과 및 시사점 241
1. 연구결과의 요약 241
2. 시사점 및 제언 250
참고문헌 255
표 목차
< 표 1> 미국 미디어교육의 역사 8
< 표 2> 미국의 주별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법령 주요 내용 13
< 표 3> 캐나다의 온라인 범죄 관련 법률 26
< 표 4> 캐나다의 주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30
< 표 5> 영화상영 및 영상물/게임물 허용 조건 및 부가사항 44
< 표 6> 민간기구의 미디어교육 및 활동 48
< 표 7> 연방 차원의 미디어교육 활동 49
< 표 8> 주별 미디어교육 기구 및 활동 51
< 표 9> 영국의 미디어교육 발전 과정 58
< 표 10> 영국 교육부의 시민교육 65
< 표 11> 핀란드 교육체제 개혁의 역사 105
< 표 12>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의 7가지 역량 106
< 표 13> 핀란드의 미디어교육 관련 기구와 활동 사례 109
< 표 14> 국어 과목 학습 해설서에서 제시한 신문 활용 사례 139
< 표 15> 해외 미디어교육 전문가들의 일반적 특성 172
< 표 16> 지역별 미디어교육 기관 수 198
< 표 17> 지역별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수 199
< 표 18> 미디어교육 기관 유형별 비율 200
< 표 19> 미디어교육 기관 유형에 따른 지역별 분포 201
< 표 20>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종류 202
< 표 21> 미디어교육 기관 유형별 시행 프로그램의 종류 202
< 표 22>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종류별 수강료 유무 비율 203
< 표 23> 지역별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수강료 유무 비율 204
< 표 24> 미디어교육 기관 유형별 수강료 유무 비율 205
< 표 25> 국내 미디어교육 전문가들의 일반적 특성 208
그림 목차
< 그림 1> 연구 추진 체계 4
< 그림 2> 핀란드 교육 시스템 101
< 그림 3> 문자‧활자 문화 진흥기구 조직도 144
< 그림 4> 안심 인터넷 만들기 촉진협의회 153
< 그림 5> 문부과학성의 정보도덕교육 동영상의 유튜브 게재 화면 158
< 그림 6> 총무성의 <방송분야의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자용 실천 사례 정보 161
요약문
Ⅰ. 서론 1
1. 문제제기 및 연구배경 1
2. 연구목적 2
3. 연구방법과 연구체계 4
II. 각국의 법체계 및 정책기구 7
1. 미국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7
1) 개관 7
2) 법체계 10
3) 정책기구 및 실행사례 18
4) 시사점 22
2. 캐나다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23
1) 개관 23
2) 법체계 25
3) 정책기구 및 실행사례 28
4) 시사점 33
3. 독일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34
1) 개관 34
2) 법체계 36
3) 정책기구 및 실행사례 46
4) 시사점 56
4. 영국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58
1) 개관 58
2) 법체계 60
3) 정책기구 및 실행사례 67
4) 시사점 77
5. 프랑스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78
1) 개관 78
2) 법체계 80
3) 정책기구 및 활동사례 90
4) 시사점 99
6. 핀란드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100
1) 개관 100
2) 법체계 102
3) 정책기구 및 활동사례 104
4) 시사점 109
7. 호주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110
1) 개관 110
2) 법체계 111
3) 정책기구 및 활동사례 116
4) 시사점 125
8. 일본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125
1) 개관 125
2) 법체계 127
3) 정책기구 및 활동사례 144
4) 시사점 162
9. 싱가포르의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163
1) 개관 163
2) 정책기구 및 활동사례 164
3) 시사점 168
III. 해외 미디어교육 전문가 인터뷰 분석결과 169
1. 연구문제 169
2. 연구방법 170
3. 분석결과 173
1) 해외 미디어교육의 법체계 및 정책기구의 활동사례 인식: 성과와 한계점 173
2) 해외 미디어교육 기관의 정책 사례와 미디어교육 활동 사례 평가 178
3) 한국 미디어교육의 발전 방안에 대한 제언 186
4. 소결 191
1) 각국의 성과와 한계점 191
2) 정책 및 활동 사례와 평가 193
3) 한국 미디어교육을 위한 제언 194
IV. 한국 미디어교육 기관 및 프로그램 현황 197
V. 국내 미디어교육 전문가 포커스그룹인터뷰(FGI) 분석결과 206
1. 연구문제 206
2. 연구방법 207
3. 분석결과 209
1) 해외 미디어교육의 법체계 및 정책기구의 활동사례 인식: 시사점과 한계점 209
2) 국내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 활동의 문제점과 그 원인 218
3) 국내 미디어교육 법체계 및 정책기구의 정립과 활성화 방안 226
4. 소결 235
1) 해외 사례의 시사점과 한계점 235
2) 국내 미디어교육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 236
3) 국내 법체계 및 정책기구 정립과 활성화 방안 238
VI. 연구결과 및 시사점 241
1. 연구결과의 요약 241
2. 시사점 및 제언 250
참고문헌 255
표 목차
< 표 1> 미국 미디어교육의 역사 8
< 표 2> 미국의 주별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법령 주요 내용 13
< 표 3> 캐나다의 온라인 범죄 관련 법률 26
< 표 4> 캐나다의 주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30
< 표 5> 영화상영 및 영상물/게임물 허용 조건 및 부가사항 44
< 표 6> 민간기구의 미디어교육 및 활동 48
< 표 7> 연방 차원의 미디어교육 활동 49
< 표 8> 주별 미디어교육 기구 및 활동 51
< 표 9> 영국의 미디어교육 발전 과정 58
< 표 10> 영국 교육부의 시민교육 65
< 표 11> 핀란드 교육체제 개혁의 역사 105
< 표 12> 핀란드 국가교육위원회의 7가지 역량 106
< 표 13> 핀란드의 미디어교육 관련 기구와 활동 사례 109
< 표 14> 국어 과목 학습 해설서에서 제시한 신문 활용 사례 139
< 표 15> 해외 미디어교육 전문가들의 일반적 특성 172
< 표 16> 지역별 미디어교육 기관 수 198
< 표 17> 지역별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수 199
< 표 18> 미디어교육 기관 유형별 비율 200
< 표 19> 미디어교육 기관 유형에 따른 지역별 분포 201
< 표 20>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종류 202
< 표 21> 미디어교육 기관 유형별 시행 프로그램의 종류 202
< 표 22>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종류별 수강료 유무 비율 203
< 표 23> 지역별 미디어교육 프로그램 수강료 유무 비율 204
< 표 24> 미디어교육 기관 유형별 수강료 유무 비율 205
< 표 25> 국내 미디어교육 전문가들의 일반적 특성 208
그림 목차
< 그림 1> 연구 추진 체계 4
< 그림 2> 핀란드 교육 시스템 101
< 그림 3> 문자‧활자 문화 진흥기구 조직도 144
< 그림 4> 안심 인터넷 만들기 촉진협의회 153
< 그림 5> 문부과학성의 정보도덕교육 동영상의 유튜브 게재 화면 158
< 그림 6> 총무성의 <방송분야의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자용 실천 사례 정보 161